목록가지급금 (3)
Info-Report

◈ 회계 계정과목 미수금과 미지급금 처리 방법 회계 계정과목중 외상매출금/미수금,외상매입금/미지급금,미수수익/미지급비용 차이를 좀 헷갈리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오늘 포스팅에는 그 차이를 알아보도록 하겠다. 1.외상매출금/미수금 과 외상매입금/미지급금 공통점과 차이점 외상매출금과 미수금 둘 다 아직 받지 못한 돈 이라는 것과 자산계정이라는 점에서는 같다. 또한 외상매입금과 미지급금 역시 지급할 돈 이라는 것과 부채계정이라는 점에서 둘다 같다. 각각의 차이는 기업의 일반적 영업활동시에 어떤 자산을 발생했느냐에 따라 달라진다고 볼 수 있다. 2.자산의 분류 영업활동에 사용할 목적으로 취득한자산은 유형자산 투자 활동에서 사용할 목적으로 취득하는 자산은 비유동 자산으로 분류한다. 회사의 일반적 영업활동을 위한 ..

회계 계정과목중 선수금과 선급금의 차이를 좀 헷갈리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오늘은 선수금과 선급금이 어느 회계 계정과목에 해당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 선수금 (先受金) 물건을 팔기 전에 물건대금의 일부를 먼저 받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계약금만 받았을 뿐이지 소유권이 이전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 시점에서는 매출로 인식할 수 없다.기업은 현금이 들어 왔으므로 자산이 증가 하는데,그 대가로 추후에 물건을 제공해야하는 의무를 발생시키므로 부채가 증가하며,이때 선수금 계정을 사용한다. 글자 그대로 해석해 보면 선수금은 미리 받은 돈이다.선수금은 물건(상품또는 제품)등을 아직 받지는 안했지만 돈은 미리 받은 것이기 때문에 나중에 물건(상품또는제품)이나 돈을 지급해야하는 부채이다. ◉부채의 회계적 정의 기업..

업무하다 보면 회계 계정과목중 가수금과 가지급금의 차이를 좀 헷갈리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오늘은 가수금과 가지급금에 대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가수금 (假受金) 글자 그대로 해석해 보면 가수금은 기업입장에서 볼 때 가짜(임시)로 받은 돈이라고 말할 수 있다. 기업이 이미 현금으로 받았으나 아직 계정과목이나 금액 등을 확정할 수 없어 일시적으로 처리하는 부채계정이다. 가수금은 기업의 입장에서 반드시 갚아야 할 부채가 되며, 대표에게는 채권이 되므로 가수금이 발생할 경우 반드시 갚아야 하는 계정과목이 된다. 기업에 가수금이 발생하게 되면 부채비율이 높아져 기업의 재무구조를 악화시키고 신용등급을 영향을 준다. 이 때문에 금융권의 대출, 공공사업 입찰 등에 불리할 수 있다. 대부분 가수금에 경우 발생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