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부채계정 (3)
Info-Report

회계관리 2급 계정과목 총정리 2편 회계관리 2급 요약 정리된 내용들은 삼일회계법인에서 주관하는 국가공인 회계관리 2급 자격증 시험 준비하면서 정리한 내역들이다. 1편에 이어 계속적으로 2편에서는 재무상태표의 자산, 부채, 자본계정과 손익계산서의 비용, 수익 계정에 대한 계정과목 총 정리된 내용들로 순서는 다음 목차와 같다. 1. 자산 계정 과목 정리 자산은 재무상태표 작성원칙 중 구분표시원칙에 의해 크게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으로 분류된다. 유동 자산이란, 1년 이내에 현금으로 바꿀 수 있는 자산이며, 비유동자산은 1년 이상으로 이루어진 자산을 말한다. 그리고 유동 자산은 당좌자산과 재고자산으로 분류된다. 세부적으로는 현금, 예금, 매출채권 및 현금성자산과 단기금융상품, 미수금, 선급금, 선급비용, 재고..

재무상태표의 부채 계정 과목 총정리 일상생활에서 집을 사거나 사업을 시작할 때 은행에서 자금을 빌리는 경우가 있는데 회계에서는 이런 빚을 부채라고 표시한다. 그래서 오늘 시간에는 재무 상태표 계정과목에 표시되는 부채에는 어떤 종류가 있고 어떤 용도를 사용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1. 부채의 정의 회계적으로 부채의 정의는 과거 거래나 사건에 의하여 발생하였으며 미래에 경제적 효익이 내재된 자원이 기업으로부터 유출됨으로써 이행될 것으로 기대되는 현재 의무를 말하며, 다른 말로는 타인자본이라고도 한다. 2. 부채의 분류 부채은 상기 그림과 같이 재무상태표 작성 원칙 중 구분 표시 원칙에 의해 크게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로 분류된다. 유동 부채란, 결산일로 부터 1년 이내에 도래하여 상환할 수 있는 것을 말하며..

업무하다 보면 회계 계정과목중 가수금과 가지급금의 차이를 좀 헷갈리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오늘은 가수금과 가지급금에 대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가수금 (假受金) 글자 그대로 해석해 보면 가수금은 기업입장에서 볼 때 가짜(임시)로 받은 돈이라고 말할 수 있다. 기업이 이미 현금으로 받았으나 아직 계정과목이나 금액 등을 확정할 수 없어 일시적으로 처리하는 부채계정이다. 가수금은 기업의 입장에서 반드시 갚아야 할 부채가 되며, 대표에게는 채권이 되므로 가수금이 발생할 경우 반드시 갚아야 하는 계정과목이 된다. 기업에 가수금이 발생하게 되면 부채비율이 높아져 기업의 재무구조를 악화시키고 신용등급을 영향을 준다. 이 때문에 금융권의 대출, 공공사업 입찰 등에 불리할 수 있다. 대부분 가수금에 경우 발생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