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비즈니스/무역 (23)
Info-Report
싱가포르 달러와 지폐 종류 싱가포르 달러는 동남아시아 지역에 위치한 싱가포르의 공식 통화이다. 이번 글에서는 싱가포르 달러 및 지폐와 동전 종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1. 싱가포르 달러(SGD)란? 싱가포르 달러(SGD)는 싱가포르의 공식 통화로 사용되는 화폐이다. 싱가포르 달러는 싱가포르 중앙은행인 싱가포르 금융관리청(Monetary Authority of Singapore, MAS)에 의해 발행되고 관리되고 있으며, 싱가포르 달러는 싱가포르 및 브루나이에서 사용되고 있다. 브루나이와 1:1 고정환율 및 상호통화호환협정을 맺었기 때문에 싱가포르 달러는 브루나이에서도 법정화폐이다. 통화기호는 S$로 표기하며, 싱달러(Sing Dollar)라고 부르며 국제적 표시로는 SGD로 표시하고 있다. 싱가포르..
태국여행 정보 태국은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여행지이므로 여행 떠나기 전에 필요한 정보들을 알고 가면 더 멋진 여행을 즐길 수 있다. 그래서 태국 여행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들을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보았다. 1. 태국 위치 태국은 동아시아에 위치한 나라이며, 북쪽으로는 미얀마와 라오스와 접경하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라오스와 캄보디아와 접하고 있다. 전체 면적은 약 513,120㎢, 인구는 약 6,900만 명이다. 세계에서 50번째로 면적이 넓은 국가이며, 22번째로 인구가 많은 국가이기도 하다. 수도는 방콕이다. 태국 면적은 우리나라 한반도 총면적 223,404㎢의 두 배 이상이며 남한 면적(100,266㎢)의 거의 5배가 더 큰 나라이다. 2. 우리나라와 시차 시차(時差)’란 한 지역과 다른 지역..
대한항공 마일리지 사용처 및 사용 방법 스카이패스 마일리지를 이용하여 항공권 구매와 좌석승급 방법 이외에도 아래 사용처와 같이 다양한 상품과 입장권을 구매할 수 있는 방법이 있어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 대한항공 마일리지 조회 방법 PC로는 대한항공 홈페이지 접속하거나 핸드폰에서는 대한 항공 My 어플을 다운로드하여 확인할 수 있다 대한항공 My 앱에 들어가면 아래와 같이 오른쪽 상단의 사람 표시된 아이콘을 눌려 확인하면 적립마일리지와 사용 및 잔여 마일리지를 확인할 수 있다. 2. 대한항공 마일리지 사용처 및 사용방법 2-1. 교보문고 1,400마일 차감하여 10,000원 도서 바우처를 발급할 수 있으며, 온라인 교보문고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또한 도서, eBook, 음반 구매 시 사용할 수 있다...
태국여행 및 출장 시 알아두면 도움이 되는 태국 바트의 종류와 단위 읽는 법 그리고 온라인 환전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태국 화폐단위와 바트 지폐의 종류 1. 태국의 화폐 단위 태국의 공식 화폐 단위는 바트(Baht)또는 밧이라고 부르며, 동전 단위로 사용되는 단위는 사땅(Satang)이 있으며 태국 바트의 표기는 'THB'로 표기한다. 바트에는 아래 그림과 같이 6종류의 지폐와 동전이 있다. 그리고 태국은 군주제 국가로 태국의 왕실은 국민들의 존경을 받고 있어 태국의 모든 화폐에는 태국 국왕의 초상이 그려져 있다. 또한 태국은 국왕 모독죄라는 것이 있어 국왕이 그려진 지폐 훼손, 왕실을 모독하는 행동이나 말을 할 경우 처벌받을 수 있으므로 관광객들은 무심코 왕실을 모독하는 행동이나 말..
해외여행 시 기내 반입 물품 해외여행 시 비행기 탑승전에 짐을 부칠 때 기내 수하물인지 위탁 수하물인지 헷갈리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오늘은 기내 수하물과 위탁 수하물에 대해서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1. 기내 수하물 기내 수하물이란 탑승 시 항공기에 직접 휴대가 가능한 물품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가벼운 손가방이나 노트북, 기내용 캐리어 등이 이에 해당된다. 기내 수하물의 경우 A (폭) 20 cmx B (세로) 55 cmx C (가로) 40cm 이내로 3면의 합이 115cm 이하, 무게는 10Kg 이하면 대한항공 기준 기내반입이 가능하다. (기준이 항공사마다 다를 수 있고 좌석 등급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확인이 필요하다.) 1-1. 보조배터리 가장 많이 실수하는 품목이 바로 휴대용 보조배터리이다..
온라인 환전하는 방법 해외여행 갈 때나 출장 시 꼭 필요한 것이 환전이다. 그래서 오늘은 조금이라도 더 좋은 환율을 적용받아 환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1. 환전할 수 있는 곳 국내에서 환전할 수 있는 곳은 일반적으로 은행 지점이 있으며, 사설 환전소, 모바일뱅킹 앱, 온라인 환전 등이 있다. 만약 주거래은행이 있다면 모바일뱅킹 앱을 다운로드하여 환전하면 환율우대도 받고 편리하게 환전할 수 있다. 각 은행마다 예를 들면, 국민은행의 리브, 신한은행의 쏠 우리은행의 위비뱅크등과 같은 앱들이 있으며 앱을 설치 후 환전하면 최대 90%까지 환율우대를 받을 수 있고, 환전한 외화를 수령할 지점도 직접 설정할 수 있어 편리하다. 2. 온라인 환전이 유리한 점 같은 은행이라도 창구에 가서..
HS코드와 수입관세율 확인 3가지 방법 수출입 업무를 하다 보면 H.S코드를 알아야 할 때가 있다. 모든 수출입 신고 시 필수 항목으로 기재를 해야 하기 때문이며,수입의 경우에는 품목 분류에 따라 관세율이 달라지고 관세액도 달라진다. 수출의 경우에는 수입국 통관절차에 의한 수입신고와 차이가 발생되고 원산지 증명서상의 품목분류와의 차이로 인하여 원산지 증명서 불인정이나 관세액 산출 오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해외와 우리나라의 품목 분류에 차이가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자신이 수입하고자 하는 상품(원재료) 혹은 수출하고자 하는 상품(원재료)등의 HS코드를 조회하여 관세율을 미리 파악해 두는 것이 중요하다. 그럼 품목 분류는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HS코드 조회 확인하는 3가지 방법에 대해..
RCEP 체결 및 관세율 확인 2022년 2월 1일부터 아시아 지역 10개국과 비 아세안 5개국 총 15개국이 참여하는 메가급 FTA인 RCEP(알셉)이 발효되어 시행하게 되었다. 관련 RCEP 주요 사항들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1. RCEP이란 무엇인가? 아시아 지역의 FTA로, ASEAN과 +6개국 간의 자유무역협정이다. 정식 명칭인 "역내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이며, 약칭으로는 RCEP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알셉)으로 많이 알려지고 있다. 2022년 1월 1일에 협정이 발효되었지만, 우리나라는 2월 1일부터 효력이 발생한다. 2. RCEP 협정 발효국은 어느 나라인가?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10개국(브루나이, 캄보디아, 인..
소고기 부위별 명칭과 원산지 결정기준 소고기를 주문하여 먹을 때 채끝살, 토시살, 부챗살 등의 살이 소 부위 중 어디에 붙어 있는 살인지 궁금하면서도 그냥 아무 생각 없이 먹는 경우가 많이 있다. 그래서 오늘은 소고기 부위별 명칭과 특징 그리고 수입산 소고기 원산지 결정기준과 국내산 원산지 규정에 대해 알아보면 다음 목차 순서와 같다. 1.소고기의 부위별 명칭과 특징 알아보기 1-1. 목심 목심은 목 부위에 있는 부분이며 운동량이 많아 지방이 적고 육질이 질긴 편이나, 콜라겐이 풍부하다. 스테이크, 구이 또는 국거리나 불고기용 요리에 이용한다. 1-2 등심 등심은 소의 목 부분에서부터 허리까지 이어지는 살을 말한다. 등심 부위는 윗등심살과 꽃등심살, 아랫 등심살로 분류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등심 부위는 ..
무역거래에서 대금결제 방식으로 신용장을 제외한 무신용장 방식으로 송금환 방식이 있다. 그래서 오늘은 송금환 방식에는 어떤 종류가 있고 어떨 때 사용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수입자(채무자)가 수출자(채권자)에게 은행을 통하여 대금을 송금하는 것을 송금환 또는 순환이라고 한다. 반대로 수출자(채권자)가 수입자(채무자)에게 은행을 통하여 채무의 변제를 요청하는 서류(환어음)를 보내는 것을 추심환 또는 역환이라고 한다. 송금환 방식에는 사전 송금방식과 사후 송금방식이 있다. ◈ 사전송금 방식 수입자가 물건을 받기 전에 수출상에게 미리 송금을 해주는 방식. ◈ CWO (Cash With Order 주문불 방식의 선급조건) 수입자가 주문과 동시에 대금을 미리 지급하는 방식으로 자 회사간 거래나 소액거래(견본품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