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가수금 (3)
Info-Report

재무상태표의 부채 계정 과목 총정리 일상생활에서 집을 사거나 사업을 시작할 때 은행에서 자금을 빌리는 경우가 있는데 회계에서는 이런 빚을 부채라고 표시한다. 그래서 오늘 시간에는 재무 상태표 계정과목에 표시되는 부채에는 어떤 종류가 있고 어떤 용도를 사용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1. 부채의 정의 회계적으로 부채의 정의는 과거 거래나 사건에 의하여 발생하였으며 미래에 경제적 효익이 내재된 자원이 기업으로부터 유출됨으로써 이행될 것으로 기대되는 현재 의무를 말하며, 다른 말로는 타인자본이라고도 한다. 2. 부채의 분류 부채은 상기 그림과 같이 재무상태표 작성 원칙 중 구분 표시 원칙에 의해 크게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로 분류된다. 유동 부채란, 결산일로 부터 1년 이내에 도래하여 상환할 수 있는 것을 말하며..

회계 계정과목중 선수금과 선급금의 차이를 좀 헷갈리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오늘은 선수금과 선급금이 어느 회계 계정과목에 해당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 선수금 (先受金) 물건을 팔기 전에 물건대금의 일부를 먼저 받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계약금만 받았을 뿐이지 소유권이 이전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 시점에서는 매출로 인식할 수 없다.기업은 현금이 들어 왔으므로 자산이 증가 하는데,그 대가로 추후에 물건을 제공해야하는 의무를 발생시키므로 부채가 증가하며,이때 선수금 계정을 사용한다. 글자 그대로 해석해 보면 선수금은 미리 받은 돈이다.선수금은 물건(상품또는 제품)등을 아직 받지는 안했지만 돈은 미리 받은 것이기 때문에 나중에 물건(상품또는제품)이나 돈을 지급해야하는 부채이다. ◉부채의 회계적 정의 기업..

업무하다 보면 회계 계정과목중 가수금과 가지급금의 차이를 좀 헷갈리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오늘은 가수금과 가지급금에 대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가수금 (假受金) 글자 그대로 해석해 보면 가수금은 기업입장에서 볼 때 가짜(임시)로 받은 돈이라고 말할 수 있다. 기업이 이미 현금으로 받았으나 아직 계정과목이나 금액 등을 확정할 수 없어 일시적으로 처리하는 부채계정이다. 가수금은 기업의 입장에서 반드시 갚아야 할 부채가 되며, 대표에게는 채권이 되므로 가수금이 발생할 경우 반드시 갚아야 하는 계정과목이 된다. 기업에 가수금이 발생하게 되면 부채비율이 높아져 기업의 재무구조를 악화시키고 신용등급을 영향을 준다. 이 때문에 금융권의 대출, 공공사업 입찰 등에 불리할 수 있다. 대부분 가수금에 경우 발생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