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화학성분 (9)
Info-Report

도시가스는 가정의 취사 및 난방, 급탕을 위한 연료로서 가정에 공급되고 있으며, 가정용뿐 아니라 업무용, 산업용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모든 지역에서 LNG를 원료로 도시가스를 사용하고 있다. LNG(Liquefied Natural Gas)는 지하 가스전에서 채취한 천연가스를 정제하여 –161℃로 액화시켜 부피를 약 600배로 압축시킨 무색(투명)액체를 LNG라고 한다. 이 액체를 기화설비를 통해 기화시켜 가스(기체)상태로 배관을 통해 현재 도시나 아파트에 살고 있는 소비자에게 공급되는 연료용 가스로 사용한다. 그럼 이 LNG에는 어떤 화학성분이 있는지 살펴보면 메탄이라는 성분이 주를 이루며 72%~95%의 메탄, 3~13%의 에탄, 1~4%의 프로판, 1~18%의 질소가 혼합되어..

우리 생활에서 많이 접하고 사용되는 플라스틱, 비닐봉투와 같은 제품을 만들때 어떤 화학물질이 사용되고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 것이 있으며 피해를 줄이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1.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은 어떤 화학물질인가? 2. 어디에 사용되고 어떻게 노출될까? 염화비닐은 플라스틱, 접착제 제조의 원료물질로 폴리염화비닐(PVC) 수지 제조 및 염화비닐 및 비닐 아세테이트 혼성 중합체 생산에 사용된다. PVC는 에너지 효율적인 물질이기 때문에 자동차 분야, 액세서리, 가구, 포장재, 파이프, 벽지 및 바닥재, 와이어 코팅, 정맥주사용 ,혈액투석용 튜브 등 병원의 여러 제품에 사용된다. PVC원료인 염화비닐은 주로 대기 중 기체 상태로 존재하며 호흡기..

날씨가 무더워지면 어김없이 나타나는 모기는 위험한 생물중의 하나입니다. 인간의 생명을 위협하는 수많은 질병이 모기에 의해 전파됩니다. 이러한 이유에서 모기에 물리는 것을 막기 위해 다양한 살충제를 현재 사용해 오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의 이야기는 우리 생활에서 흔히 쓰는 살충제에는 어떤 유해한 화학성분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모기 살충제의 주요 화학 성분은 프탈트린과 퍼메트린이라는 유해한 화학 성분들이 들어 있습니다. 각각 화학 성분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프탈트린(Phthalthrin)과 퍼메트린(Permethrin) 어떤 화학성분들인가? 1-1.프탈트린(Phthalthrin) 어떤 화학 성분 인가? ◈인체에 유해하며 액화석유가스에 한 성분이며, 농약에도 포함되어 있으며 주로 곤충..

우리가 매일 생활에서 접하는 커피에는 어떤 화학성분이 있고 언제부터 마셔는지 건강에는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1.커피에는 어떤 화학성분이 있는가? 커피’ 하면 바로 생각나는 화학물질은 바로 카페인(Caffeine)이다. 카페인은 커피나무를 포함해서 카카오,견과류,종자류 차나무등 여러 식물에서 만들어진다. 카페인은 식물성 알칼로이드(질소를 함유한 활성 천연물질)에 속하는 흥분제의 일종이다. 천연 카페인은 견과류, 종자류 및 몇몇 식물의 잎 등에서 얻을 수 있다. 또한 차, 커피, 코코아, 콜라, 초콜릿 등의 기호식품과 두통약 등에 들어있는데, 카페인은 뜨거운 물에 잘 녹고 냄새가 없으며 흰색의 결정으로 쓴맛이 나는 게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카페인은 중독성 물질로서 몸에 해로운 성..

현대 생활에서 살아가는 모든 것에 화학물질이 기본 소재가 되지 않은 것이 거의 없습니다. 우리가 입고 있는 옷,가방,신발,화장품 같은 것을 비롯하여 사무실의 책상,의자,컴퓨터등 온갖 가전제품에 이르기까지 화학물질을 소재로 하지 않는 제품이 거의 없을 정도로 우리 생활과 아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마치 공기처럼 언제 어디서나 우리 생활을 지탱해 주고 있습니다. 이처럼 중요한 화학물질에 대한 우리의 올바른 이해와 관심을 가지고 보다 더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그래서 오늘의 이야기는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샴푸 성분 중에는 어떤 화학성분이 있는지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샴푸 성분중에는 알레르기와 접촉성 피부염을 유발하는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 이라는 화학성분..

나무젓가락 어떤 유해한 화학 성분이 있는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컵 라면,중국 음식,각종 배달식품을 먹을 때 사용하는 것이 나무젓가락입니다. 어딜가나 쉽게 구할 수 있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일회용 나무 젓가락이 인체에 위혐을 준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편리함이 우리 자신의 건강에 해를 준다는 사실을 잊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의 이야기는 나무젓가락에는 어떤 유해한 화학성분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나무 젓가락은 대부분 중국에서 수입하다보니 제조 과정에서 썩지 않게 부패를 막기 위해 표백제와 곰팡이방지제,살균제등 여러가지 화학성분등을 첨가하여 나무젓가락을 만들어 국내에 반입하고 있습니다. 이런 유해한 화학물질들을 살펴보면은 이산화황,오쏘페닐페놀,티아벤다졸,비페닐,이마자릴등을 첨가제로 사용합니다..

이부프로펜은 염증 완화 작용이 추가된 해열 진통 소염제이며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은 해열 진통제이다. 이부프로펜은 염증 발생을 억제해주는 항염증 치료제로 통증이 있거나 열이 날 때, 염증이 생겼을 때 찾게 되는 약이다. 이부프로펜은 알약,캡슐,시럽으로 나오며 항염 효과가 있는 진통제로서 열을 내리는데 사용되는 약이다. 열이 나고 아프면 한 번쯤 복용한 경험이 있는 약으로 우리가 타이레놀이라고 알고 있는 아세트아미노펜과 이부프로펜이 가장 널리 사용 해온 진통제들이다.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은 항염증 작용이 없는 단지 해열진통제이며, 이부프로펜은 해열 진통제 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항염증 작용도 가지고 있다. 부작용의 종류와 정도는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이 진통제중에서 위장,신장,심장 부작용이 가장 적..

피부를 자극하는 화장품 성분인 트리에탄올 아민은 어떤 화학물질인가? 우리는 화학물질에서 벗어나 살 수 없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현재 우리 눈 앞에 바로 보이는 것들만 보더라도 샴푸,화장품, 클렌징, 치약, 비누, 락스 등 많은 일상 생활용품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생활 용품속에 들어 있는 화학 물질, 정말 모든 부분에서 피해야 하는 걸까요? 이제는 정말 피해야 할 제품 성분은 무엇인지, 화학제품을 좀 더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은 무엇이 있는지 합리적이면서 건강한 삶을 위해 우리 눈 앞에 있는 일상 생활 용품속에 들어 있는 화학성분들을 관심있게 살펴보고 조금 더 안전하게 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그래서 오늘의 이야기는 화장품 성분에 사용하고 있는 화학물질인 트리에탄올 아민에 ..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샴푸와 화장품, 세제, 방향제, 학용품, 어린이용품 등 무수한 화학 물질에 둘러싸여 살고 있습니다 화학물질로 인해 다양하고 편리한 생활을 누리고 있지만, 그 이 면에는 생태계와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심각한 문제로 제기되고 있습니다. 몇 년전에 가습기 살균제로 많은 인원이 사망한 최악의 화학참사를 기억할 것입니다. 이는 우리가 무심코 사용하는 화학물질이 얼마나 위험할 수 있는 지를 보여준 사례입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약 10만여 종의 화학물질이 사용되고 있으며, 시중에 유통되는 4만 3천 종 중 약 15% 정도만이 유해성에 대한 정보가 확인되고 있습니다. 이는 우리가 유해성 이 확인되지 않은 화학물질이 우리의 일상 속에서 지속적으로 노출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 합니다. 이러한 유해화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