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선수금 (3)
Info-Report

재무상태표의 부채 계정 과목 총정리 일상생활에서 집을 사거나 사업을 시작할 때 은행에서 자금을 빌리는 경우가 있는데 회계에서는 이런 빚을 부채라고 표시한다. 그래서 오늘 시간에는 재무 상태표 계정과목에 표시되는 부채에는 어떤 종류가 있고 어떤 용도를 사용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1. 부채의 정의 회계적으로 부채의 정의는 과거 거래나 사건에 의하여 발생하였으며 미래에 경제적 효익이 내재된 자원이 기업으로부터 유출됨으로써 이행될 것으로 기대되는 현재 의무를 말하며, 다른 말로는 타인자본이라고도 한다. 2. 부채의 분류 부채은 상기 그림과 같이 재무상태표 작성 원칙 중 구분 표시 원칙에 의해 크게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로 분류된다. 유동 부채란, 결산일로 부터 1년 이내에 도래하여 상환할 수 있는 것을 말하며..

◈ 회계 계정과목 미수금과 미지급금 처리 방법 회계 계정과목중 외상매출금/미수금,외상매입금/미지급금,미수수익/미지급비용 차이를 좀 헷갈리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오늘 포스팅에는 그 차이를 알아보도록 하겠다. 1.외상매출금/미수금 과 외상매입금/미지급금 공통점과 차이점 외상매출금과 미수금 둘 다 아직 받지 못한 돈 이라는 것과 자산계정이라는 점에서는 같다. 또한 외상매입금과 미지급금 역시 지급할 돈 이라는 것과 부채계정이라는 점에서 둘다 같다. 각각의 차이는 기업의 일반적 영업활동시에 어떤 자산을 발생했느냐에 따라 달라진다고 볼 수 있다. 2.자산의 분류 영업활동에 사용할 목적으로 취득한자산은 유형자산 투자 활동에서 사용할 목적으로 취득하는 자산은 비유동 자산으로 분류한다. 회사의 일반적 영업활동을 위한 ..

회계 계정과목중 선수금과 선급금의 차이를 좀 헷갈리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오늘은 선수금과 선급금이 어느 회계 계정과목에 해당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 선수금 (先受金) 물건을 팔기 전에 물건대금의 일부를 먼저 받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계약금만 받았을 뿐이지 소유권이 이전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 시점에서는 매출로 인식할 수 없다.기업은 현금이 들어 왔으므로 자산이 증가 하는데,그 대가로 추후에 물건을 제공해야하는 의무를 발생시키므로 부채가 증가하며,이때 선수금 계정을 사용한다. 글자 그대로 해석해 보면 선수금은 미리 받은 돈이다.선수금은 물건(상품또는 제품)등을 아직 받지는 안했지만 돈은 미리 받은 것이기 때문에 나중에 물건(상품또는제품)이나 돈을 지급해야하는 부채이다. ◉부채의 회계적 정의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