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o-Report

트리메틸아민은 어떤 화학물질인가? 본문

케미칼 정보/생활속의 화학 이야기

트리메틸아민은 어떤 화학물질인가?

인포 리포트 2020. 11. 8. 09:57

우리는 일상 생활중 수없이 많은 냄새 (음식물 냄새,화장실 냄새, 화장품 냄새,생선 비린내냄새, 휘발유 냄새) 등을 맡고 생활한다.

어느 냄새는 우리가 좋아하는 반면 어느 냄새는 싫어하기도 한다.

그래서 오늘은 심한 악취를 풍기는 화학물질의 하나인 트리메틸아민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1. 트리메틸아민 일반 화학정보

트리메틸아민은 물고기에 들어 있는 산화트리메틸아민이 분해되어 생기며,포유류의 소변에서 검출 될 수 있으며 콜린(choline)을 섭취하면 체내에서 생성된다.

트리메틸아민은 일부 암모니아로 분해,요소가 되고 산화하여 산화트리메틸아민이 된다.

트리메틸아민은 동물의 조직,특히 어류의 조직에 넓게 분포되어 있어 어류에서 생선 비린내를 나게 하는 원인으로 어류의 체내에서 산화트리메틸아민이 분해되면서 발생하게 된다.

 

트리메틸아민은 일상생활에서 악취를 풍기는 주요 물질임과 동시에 다른 가연성 가스와 함께 법적 관리가 필요한 사고대비 물질이다.

사용용도로는 주로 암모니아 화합물 제조,소독제의 제조,부식 방지제,다양한 유기물의 합성에서도 사용되고 있으며 다른 아민들과 함께 곤충 유인제,천연가스의 경고 물질,화학합성의 중간매개체로서 사용되고 있다.

 

2.생활속의 나쁜 냄새를 주는 화학물질은 무엇이 있는가?

 

어떤 물질이든 우리가 냄새를 느끼려면 그 분자가 우리 콧속의 후각 신경에 우선 접촉해야 하며 휘발성을 지녀야 한다.

그러나 우리 주변에 가장 흔한 물과 공기는 휘발성인데도 냄새를 느끼지 못하는 것은 우리 코는 24시간 물과 공기 냄새를 맡게 된다면 다른 냄새는 맡을 시간도 없이 24시간 몹시 우리 코는 바쁘게 움직였을 것이다. 그래서 우리 코는 그것을 무시하도록 진화한 것이다. 그렇지 않았더라면 우리 코는 다른 냄새는 전혀 느끼지 못하고 현재 물과 공기 냄새만 느끼며 생활하고 있을 것이다.

 

누구나 음식물이 변했는지 알아 보려고 할 때는 코를 가까이 대고 냄새를 맡아 본다. 음식물이 부패할 때 박테리아가 만드는 황이나 질소를 함유한 화합물 냄새에 우리 후각이 매우 민감하기 때문이다. 한 예로 에틸메르캅탄이라는 황화합물에 대한 인간의 감지도는 매우 놀랍다. 이 기체가 공기 중에 5백억분의 1만 들어 있어도 우리는 냄새를 알아낸다고 한다. 현재 화학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어느 화학 분석 기기도 이에 버금가는 감도를 지니지 못한다고 한다. 그러기에 가정에서 사용하는 도시가스에는 가스 누출을 감지할 수 있도록 일부러 이 황화물을 미량 첨가하기도 한다.

 

우리 머리털이나 손톱에도 황화합물이 단백질 구성 성분으로 들어 있으나 휘발성이 없기 때문에 다행히 악취를 내지 않는다. 하지만 머리털이나 손톱을 태우면 몹시 나쁜 냄새가 나며 이는 황과 질소 화합물 때문이다. 마늘과 양파의 심한 냄새도 그 속에 들어 있는 황화합물 때문이다.

 

 공중화장실에서 느낄수 있는 암모니아 냄새도 나쁜 냄새 중의 하나이다. 사람은 물고기 비린내를 싫어하는데 암모니아의 형제쯤 되는 물질이 바로 트리메틸아민이며  친척쯤 되는 물질이 상한 민물고기의 냄새가 나는 피페리딘(piperidine) 이라는 물질이다. 이들은 모두 암모니아처럼 질소 화합물이다.

 

3. 일상 생활속의 화학 활용법

 

항상 횟집 가면 생선 회와 더불어 레몬이 딸려 나오는데 레몬을 단지 장식품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있는데 레몬은 시트르산이라는 산이 있어 비린내가 나는 생선을 중화시켜준다고 한다.

 

그렇다면 생선에 있는 어떤 물질이 염기성이며, 비린내와 연관이 무엇이 있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

생선 비린내의 원인은 바닷물고기 세포를 유지시키는 화합물에서 그 원인을 찾아야한다.

“산화트리메틸아민”이 주범이다. 바닷물의 염분은 삼투현상을 일으켜 물고기들은 수분 함량 유지를 위하여 체내에 삼투 물질을 갖고 있어야 한다. 이 삼투 물질이 “산화트리메틸아민”이다. 이 화합물은 자체적으로는 아무 냄새도 없다. 그럼 비린내는 어디서 발생하는 것인가? 이 화합물은 바다물고기가 죽으면 몸속에서 효소와 세균이 함께 작용해 이 화합물을 분해한다. 분해 물질 가운데 “트리메틸아민”이 있는데 이 화합물이 바로 비린내의 원인이다. “트리메틸아민”이 많이 분비 될 수록, 즉 바다에서 나온지 오래 될수록 비린내는 더 많이 난다. 생선 신선도의 척도가 되는 것이다. 바다에서 나온지 오래되지 않은 생선은 비린내가 거의 나지 않는다.

 

정리해 보면 트리메틸아민은 물고기에 들어 있는 산화트리메틸아민이 분해되어 자극적인 생선 비린내 냄새를 풍기므로 염기인 아민과 산 성분이 반응하여 비린내를 없애기 위해서는 생선 요리를 먹기 전에 식초나 레몬 즙을 뿌려 중화시켜 비린 냄새없이 먹는 것이 좋다는 것이다.

 

주방에서 생선 조리에 사용했던 칼과 도마 등도 마찬가지로  묽은 식초로 닦고 세제로 씻어 내면 훨씬 쉽게 비린내가 없어지는 까닭도 이 화학반응에 있다고 볼수 있다.

 

이처럼 우리 일상 생활중 식생활만큼 화학의 활용이 요긴한 곳도 없다.

 

4.안전 화학물질 정보 (MSDS)확인

인체에 대한 트리메틸아민의 영향은 주로 코,목구명 그리고 폐의 점막 작극과 함께 호흡곤란,기침등을 유발한다고 한다.

장기 노출시 사람에 있어서 눈과 피부에 부식성이 있으며 사람 피부에 접촉한 트리메틸아민의 농축된 수용성 용액은 심한 화상과 충혈을 일으킬수 있다.

또한 트리메틸아민은 강한 발화성 및 폭발 가능성이  높은 물질로 분류된 법적관리가 필요한 사고 대비 물질이다.

 

 

 

 

 

 

반응형
Comments